<p></p><br /><br />국내외에서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의 공기 전파 가능성이 확산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게 정말 가능한 건지, 팩트맨이 확인해봅니다.<br><br> <br><br>인천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30대 여성, 마스크를 끼고 오미크론 감염자와 1분 정도 대화했는데 확진 판정을 받았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. <br> <br>방역당국은 1분이라는 시간까지 특정할 수는 없지만, "공기 전파 가능성 열어두고 조사 중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><br> <br><br>[손영래 /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 (어제)] <br>"해외에서의 분석 결과와 우리나라에서 확진된 사람들의 이후 상태들을 좀 보면서 분석할 부분이라고 보고 있습니다." <br> <br>홍콩에서는 호텔 방을 마주 보고 각각 격리된 여행자 두 명이 오미크론 변이에 감염됐습니다.<br><br> <br><br>홍콩대학교 연구진은 지난주 이 사례를 분석하면서 오미크론 공기 전파가 우려된다는 보고서를 냈습니다. <br> <br>CCTV 분석결과 두 사람이 객실을 이탈하거나, 객실 사이에 물품이나 사람이 오간 적이 없어서 <br> <br>"복도를 통한 공기 중 전파 가능성이 높다"는 겁니다.<br><br><br> <br>두 사람이 문을 연 건 문 앞에 놓인 음식을 받을 때뿐이었습니다. <br> <br>지난해 7월 세계 보건기구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공기 전파 가능성을 최초로 인정했습니다. <br> <br>[베네데타 알레그란치 / WHO 감염통제국장 (지난해 7월)] <br>"공공장소 중 혼잡하고 폐쇄됐으며 환기가 잘 안 되는 환경에선 공기 전염의 가능성이 있습니다."<br><br><br> <br>바이러스의 공기 전파가 가능한 건 머리카락 굵기 20분의 1보다 더 작은 침방울, 즉 에어로졸 때문입니다. <br> <br>에어로졸은 공기 중에 떠다니며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어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공기 전파가 이뤄질 수 있습니다.<br><br> <br><br>질병관리청은 밀폐된 공간에 머무른다면 <br> <br>△자연 바람으로 <br>△하루 최소 3번, <br>△10분씩 환기해야 <br> <br>효과적으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고 안내합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팩트맨이었습니다. <br> <br>제보 : 카카오톡 '팩트맨' <br> <br>취재 : 권솔 기자 <br>연출·편집 : 황진선 PD <br>구성 : 박지연 작가 <br>그래픽 : 박소연 조나영 디자이너